[서울이야기] '비전(碑殿)'에서 '비각(碑閣)'으로

BoardLang.text_date 2007.12.12 작성자 홍순민
페이스북으로 공유 X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밴드로 공유

'비전(碑殿)'에서 '비각(碑閣)'으로


홍순민(중세사 2분과)



광화문 네거리, 종로 1가에서 세종로로 꺽이는 길목에 '비각(碑閣)'이 있다. 그 비는 "대한제국대황제보령망육순어극사십년칭경기념비 (大韓帝國大皇帝寶齡望六旬御極四十年稱慶紀念碑)"라는 긴 이름을 가지고 있다. 대한제국의 대황제 곧 고종황제의 연세가 망육순―육순을 바라보는 나이, 다시 말하자면 51세가 되는 것과 어극―왕위에 오른지 40년이 되는 경사를 기념해서 세운 비라는 뜻이다.

고종은 1852년생으로서 1863년 12세에 왕위에 올랐다. 1902년은 그의 나이가 51 세가 되고, 왕위에 오른지 40년이 되므로 그 전해 12월 당시 황태자―후일의 순종이 상소를 올려 이를 기념하는 존호(尊號)를 올리고, 잔치를 베풀 것을 청하면서 기념사업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1902년(광무 6년) 5월 4일에 고종이 기로소(耆老所)에 들었다. 기로소는 조선 태조대에 설치된 관청으로서 정이품 이상의 관원으로서 나이가 70이 넘은 사람들에게 경로(敬老)하는 예우를 갖추기 위한 것이었다. 임금도 나이가 많으면 특별히 기로소에 드는 경우가 있었는데, 태조가 60세, 숙종이 59세, 영조가 51세에 기로소에 든 전례가 있었다.

1902년에도 영조의 예에 따라 고종을 기로소에 들도록 한 것이다. 기로소는 육조거리의 동쪽 끝, 바로 오늘날의 광화문 네거리 교보빌딩 자리 전면에 있었다. 그 기로소 일곽에 이러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한 비석을 세우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각을 세운 것이 오늘날의 '비각'이다.

이 건물은 그러므로 왕이 아닌 황제로서 고종의 장수와 오랜 재위를 기념하기 위한 목적에 걸맞는 치장을 갖추고 있다. 지면에서 이중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정면 3간, 측면 3간의 다포식 건물을 지었다. 그 둘레에는 돌 난간을 두르고 난간 기둥에 돌로 상서로운 짐승을 만들어 앉혔으며, 남쪽 전면에는 홍예문―아치문을 세우고 그 가운데 '만세문(萬歲門)'이라는 이름을 새겨 넣었고 문짝은 철로 격자문을 해 달고 가운데에 태극 문양을 넣었다. 이러한 가운데 특히 주목되는 것이 그 보호각의 이름이다. 비석을 보호하는 건물은 흔히 '비각'으로 부르는 데 비해 이 보호각은 비각이 아닌 '기념비전(紀念碑殿)'으로 편액이 붙어 있다.

신분제 사회인 조선시대에는 건물도 그 주인의 신분에 따라 격이 달랐으며, 명칭도 구별해서 붙였다. 건물에 붙는 이름 가운데 '전(殿)'자는 왕이나 왕에 버금가는 인물들과 관련된 건물에만 붙였다. 사찰 같으면 부처님을 모신 건물에만 '전'자를 붙였다. 궁궐이나 일반 사가에서는 아무리 높은 신분의 사람이 사는 건물이라도 왕이 아닌 한 '당(堂)'자나 그 이하의 '합(閤)', '각(閣)', '재 (齋)', '헌(軒)' 등 다른 글자들을 붙여 격을 낮추었다. 그러므로 '비각'이 아닌 '비전'은 황제인 고종과 관련되는 건물임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런 '기념비전'도 그러나 우리 근대사의 격랑에 따라 수난을 면치 못하였다. 일제시기에 일본인이 그 문을 떼어다가 충무로에 있는 자기 집의 문으로 사용하였던 것이 6·25의 와중에 일부 파손되었었다. 그것을 1954년 7월 '비전'을 보수하면서 이 문도 찾아다 다시 달았으며, 다시 1979년에 해체 복원하였다.

어느 때부터인지 '비전'의 이름도 '비각'으로 굳어져 버렸다. 지금은 그 밑으로 지하철과 지하도가 뚫리고 그 옆에 엄청난 크기의 교보빌딩이 들어서 있어 사람들의 눈길에서 벗어나 있다. 그곳에 비각이 있다는 사실 자체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그 비각이 무슨 비각인지, 다시 말하자면 비각이라면 그 안에 비석이 어떤 비석인지, 더구나 그 비각의 명칭이 실은 비각이 아니라 '비전(碑殿)'이며, '비각'과 '비전'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알아주는 이들은 매우 드물리라 짐작된다. 우리에게 '조선'과 '대한제국'이 아스라이 멀듯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