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세상읽기

[중세1분과 총회 후기(2019.4.25.)] - 큰 산 앞에 서면 언제나 겸허해진다

BoardLang.text_date 2019.05.15 작성자 정동훈
페이스북으로 공유 X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밴드로 공유
 

분과총회 후기(중세1분과, 2019.4.25.)



큰 산 앞에 서면 언제나 겸허해진다


 

정동훈(중세1분과)


 

중세1분과는 소수정예를 자부합니다. 작년 여름, 한국역사연구회 창립 30주년 행사에서 각 분과의 지난 30년을 돌아보는 발표를 들어보니 중세1분과는 30년간 줄곧 회원수가 가장 적은 분과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분과원들 개개인의 탁월한 역량과 높은 충성도, 진한 결집력으로 언제나 연구회의 중심을 지켜왔다는 자부심을 우리는 품고 있습니다. 올해에도 회장, 사무국장, 총무부장으로 이어지는 연구회의 핵심 라인을 모조리 배출한 수권 분과 아니겠습니까!

 

자부심 넘치는 중세1분과의 중심에는 늘 채웅석 선생님이 계셨습니다. 제가 대학원에 입학하고 처음 당시 방배동에 있던 연구회의 문을 빼꼼히 열고 들어갔을 때 선생님을 처음 뵈었습니다. 티비 채널을 어디로 돌려도 나오는 최고의 연예인처럼, 어떤 책, 어떤 논문을 펼쳐도 늘상 인용되는 최고의 연구자를 만났다는 감상을 일기에 적어두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때부터도 제법 시간이 흐르고 보니, 후배 연구자들께서는 그런 감격을 누릴 기회가 많지 않았겠다 싶었습니다. 그래서 조금 무리다 싶으면서도 선생님께 분과총회에서 발표를 해주십사 부탁을 드렸습니다. 선생님께서는 한사코 사양하시다가 끝내 수락해주셨고요.

<나의 고려시대사 연구> 선생님께서는 지난 30여 년의 연구를 1) 사회사, 2) 정치사, 3) 형법사/형정사, 4) 다원성과 통합성 등 네 가지 꼭지로 나누어 소개해주셨습니다. 고려시대 연구자라면 선생님의 연구야 누구나 읽고 또 읽었을 터, 그 내용이야 어느 정도 알고 있었습니다만, 그것이 당시의 어떠한 시대적 흐름, 그리고 자신과 동료들의 어떤 고민 속에서 나온 것인지, 그리고 그 각각이 어떻게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는지를 들을 수 있어 더욱 즐겁고 유익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농담처럼 본인이 한 가지를 끝까지 파기보다는 재미있는 주제들을 찾아다녔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선생님께서 워낙 구덩이를 넓고 깊게 파가면서 수확을 마치신 터라 후배들이 이삭줍기 정도나 하고 있다는 것도 다 아는 사실입니다.

제가 인상 깊게 들었던 바로, 선생님의 연구 관심에 항상 등장하는 질문은 “고려시대를 어떻게 총체적, 구조적, 종합적으로 이해할 것인가”였다는 점이었습니다. 단편적인 사실들을 밝혀내는 데에 그치지 않고, 그 각각이 어떻게 얽히고설켜 고려라는 時代格을 이루고 있었는지를 드러내는 데까지 이르고자 하셨다는 겁니다. 선생님의 논문을 읽으며 품었던 혐의가 과연 그러했구나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날 분과총회는 근래에 보기 드문 대호황이었습니다. 서른 명 가까운 회원들이 참석하여, 마치 중세1분과 부흥회를 연상케 할 정도로 열띤 분위기를 만들어냈습니다. 메모한 것을 보니 박사, 박사과정, 석사과정 회원이 각각 열 명 정도씩으로, 세대와 전공을 아우르는 장면을 연출해냈습니다. 선생님의 말씀 한 마디, 손짓과 표정 하나에서까지 힌트를 얻어가려는 후배들의 진지함 속에 두어 시간이 휙 지나가버렸습니다.

간단치 않은 부탁을 들어주신 채웅석 선생님께 다시 한 번 깊은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참석해주신 여러 선생님들께도 감사드립니다. 이 글의 제목 <큰 산 앞에 서면 언제나 겸허해진다>는 어제 참석하셨던 강재구 선생님의 페이스북에서 따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