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이야기] 강화읍내

BoardLang.text_date 2007.11.26 작성자 홍순민
페이스북으로 공유 X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밴드로 공유

강화읍내


홍순민(중세사 2분과)


강화읍의 고려궁지에서는 대부분 적잖이 실망을 하시게 된다. 별 볼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 마음으로 그냥 읍의 중심가로 내려와 버리면 그 실망감이 가시질 않는다. 자칫하면 기껏 강화를 보러 간 기분을 망칠 수가 있다. 그러므로 고려궁지에서 나와서는 차를 타고 그것의 왼편-서쪽으로 나 있는 길을 따라 뒷산으로 올라가 보시는 것이 좋다. 그곳에 강화읍을 둘러싸고 있는 읍성의 진송루(鎭松樓)를 만나게 된다. 고려 고종 때 강화로 천도하면서 그곳을 방어하기 위해서 세 겹으로 성을 쌓았던 바 강화읍성은 그 가운데 내성이다. 조선시대 들어와서는 병자호란 후 강화에 성을 쌓는 과정에서 돌로 개축하였다. 그 강화읍성의 북문이 진송루이다.

그곳에서 진송루를 만났다고 해서 서둘러 감동을 하면 실수하시는 것이 된다. 그 문은 1976년에 복원한 것인데 영 시원치 않기 때문이다. 그 문이 시원치 않음은 그 편액을 보면 안다. 보통 제대로 된 편액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면서 읽는 것이 정상이다. 한문은 그렇게 쓰는 법이다. 그런데 진송루는 오늘날 한글 표기 방식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면서 쓰여 있다. 격에 맞지 않음을 스스로 드러내고 있다. 성벽도 자세히 보면 아랫 부분은 원래의 것이나 윗 부분은 새로 복원하여 짜깁기한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윗 부분은 영 아니올시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화읍성의 북문에 올라가 보는 이유는 그 문이나 성벽 자체보다는 그 문 밖을 나서서 만나는 풍광을 보기 위함이다.

진송루 문을 나서면 오른편으로는 고려 고종 때 병사들이 성을 쌓느라 고생하는 것을 보고 하늘도 울고, 땅도 울고 무엇 무엇도 울고 왕도 울어서 다섯이 울었다는 뜻이라는 오읍(五泣) 약수로 가는 길이 나 있다. 곧바로 내려가면 저 아래 동네로 내려가는 비탈길이 이어지기는 하지만, 그 비탈길을 타고 내려갈 것까지는 없다. 가 보아야 얼마 못 가서 끊긴다. 오읍약수 가는 길로 한 십여 미터 가서 북쪽을 바라보면, 저 아래로 논이 보이고 그 논 너머로 유유히 흐르는 물길이 보인다. 강화와 개풍을 가르는 조강(祖江)이다. 그리고 그 조강 너머가 북한의 개풍 땅이요 그 뒤로 날씨 좋은 날은 푸르스름하게 보이는 산이 개성의 송악산이다. 강화가 개성과 가까움을, 분단의 아픔을 새삼 느끼게 되는 자리이다.

진송루에서 내려오면서 강화읍을 벗어나기 전에 한 군데 더 들러볼 데가 있다. 내려오는 길 중간 지점쯤 김상용 순의비 옆으로 나 있는 골목길, 버스는 힘들고 승용차는 그럭저럭 올라갈 만한 길을 한 100여 미터 올라가면 오른편으로 용흥궁의 뒷담이 나오고 왼편으로는 오래된 기와집이 나온다. 성공회 강화성당이다. 1900년에 완공된 이층 건물인데 요즈음 새로 짓는 성당이나 교회들은 물론이거니와 오래되었다는 명동 성당이나 정동 교회는 물론, 덕수궁 옆에 있는 성공회 서울성당과도 사뭇 다른 모습이다. 내부는 서양식 성공회 예배당 구조이지만 겉은 한식으로 팔작기와지붕을 하고 있다. 전도 대상 지역의 전통문화와 조화를 이루려는 노력이 돋보이는 건물이다.

강화 읍내를 벗어나기 전에 가 볼만한 곳이 몇 군데 더 있기는 하다. 고려시대의 유적은 찾기 어렵더라도 조선시대에는 유수부였던 강화에 읍내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시설들이 없을 리 없다. 그러나 이런 시설 유적들은 지금은 크게 왜곡되고 훼손되어 굳이 찾아가 본들 실망이 크기 십상이다. 그렇더라도 강화읍성은 조금 더 살펴보는 것도 좋겠다. 읍성에는 동서남북 네 군데에 문들이 있었는데, 지금 동문은 없어지고 남문, 서문이 북문과 비슷한 형국으로 복원되어 있다. 그것들을 이으면서 남문에서 서문, 북문을 동문 터 부근까지 강화읍을 둘러싸고 있는 산들의 능선을 읍성이 중간 중간 복원된대로 또는 무너지고 헐려진 채로 휘감아 돌고 있다. 이대로 내버려둘 것이 아니라 이를 잘 살린다면 좋은 볼거리가 되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이 크다.

강화읍의 중심 가로에서 남쪽으로 나가는 길로 꺾어 한 이삼십여 미터 가다가 보면 복원된 성벽이 있는데, 그 오른편 성벽을 타고 조금 안쪽으로 들어간 곳에 있는 남문은 병자호란 당시 김상용이 자폭하였다는 곳이다. 문의 이름이 안파루(晏波樓). 그 편액은 문안에 붙어 있고 바깥쪽에는 강도남문(江都南門)이라는 편액이 붙어 있다. 진송루와는 달리 글씨의 순서는 옛 방식을 따르고 있지만 글씨는 어째 오종종하니 눈에 차지 않아 작게 쓰인 낙관을 확인하여 보니 역시 최근, 그러니까 1976년 어간에 국무총리를 하던 알만한 분이 쓴 것이다.

강화읍의 중심가로에서 서쪽으로 주욱 나가다 보면 역시 성벽이 나오고 길 바로 오른 편에 서문 첨화루(瞻華樓)가 있다. 문의 모습이나 편액은 다시 진송루 꼴이 되었다. 그러나 서문은 그냥 지나치지 말고 귀찮더라도 차에서 한 번 내려 둘러볼 필요가 있다. 문 자체나 편액을 보자는 것이 아니라, 그 문안 길 건너에 있는 "연무당 옛터"라는 표지석을 보기 위함이다. 아니 표지석이 아니라 그곳에 있었던 연무당(鍊武堂) 건물과 그곳에서 이루어졌던 이른바 "병자수호조약 (丙子修好條約)" 또는 "강화도 조약"으로 불리는 1876년 일본의 강압적이고 일방적인 불평등 조약, 일제가 우리나라를 삼키려 아가리를 벌린 첫 장면을 보기 위함이다. 연무당 건물은 헐려 없어지고 그곳은 잔디밭으로 가꾸어 표지석만 하나 덩그라니 서 있다. 그렇듯 일본의 침략은 점점 세월의 저편으로 잊혀져 가고 일본은 다시 말로, 전자 제품으로, 돈으로 우리를 누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