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단행본 개설서

『조선시대사』1·2 (푸른역사, 2015)

작성자 한국역사연구회 BoardLang.text_date 2016.07.01 BoardLang.text_hits 28,607
페이스북으로 공유 X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밴드로 공유

과학적·실천적 역사학의 수립을 통해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자주화에 기여하기 위해 창립해 현재 700여 명의 학자들이 참여하는, 명실상부하게 한국 역사학계를 대표하는 학회로 자리매김한 한국역사연구회와 역사의 대중화에 새 지평을 연 푸른역사가 함께 ‘한국역사연구회시대사총서’를 펴낸다. ‘한국역사연구회시대사총서’는 역사학계의 중진 학자들이 참가해 총 10권(고대·고려·조선·근대·현대 각 2권)으로 완간 예정이며 ≪조선시대사 1─국가와 세계≫와 ≪조선시대사 2─인간과 사회≫의 출간으로 그 첫걸음을 뗀다. ‘한국역사연구회시대사총서’는 전 시대 전 분야를 망라해서 서술하는 대신, 시대별로 그 시대를 바라보는 새로운 틀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주제를 선정해 그동안 축적돼 온 학계의 연구 성과를 압축 정리해 깊이 있는 역사 읽기를 시도했다.


 

 

권1

정치운영과 왕권의 추이-왕권의 위상 변동에 따른 조선 정치사 개관
조선 초기: 체제 정립기 | 조선 중기: 사화와 붕당정치 | 조선 후기: 환국과 탕평정치 |
조선 말기: 세도정치

교화와 형정-백성을 무엇으로 다스릴 것인가
교화 중심의 통치체제 확립 | 형정이 중시되는 사회로의 변화 | 민인의 권리의식 향상

농민의 의무, 국가의 책임-국가 재분배 관점에서 본 재정
국가 경제 운영의 원리 | 조선 후기 국역체계의 정비 | 재정시스템의 현실화

혈통의 굴레, 신분의 구속-조선시대 양반층의 등장과 신분구조의 변화
임진왜란 직후의 경상도 함양 사회 | 국가적 평등을 지향한 사회 | 신분 변화의 이중주

교환과 시장 그리고 도시-조선 시장의 탄생과 발달
조선 전기 교환의 형태 | 조선 후기 시장의 발달 | 도시의 성장

국제 관계와 전쟁-‘끼인 나라’ 조선의 험난한 외교사
15~16세기 조명관계와 대명 인식 | 15~16세기 조일관계 | 15~16세기 조선과 여진의 관계 | 임진왜란과 명청교체의 서막 | 명청교체와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성

조선 사람이 그린 세계의 이미지-중화사상에서 넓은 세계까지
현실의 새로운 경계 | 화이사상과 중화세계관 | 서구식 세계지도와 세계 인식의 지평 | 서구식 세계지도와 조선의 세계관

개방의 세계사적 흐름과 조선의 선택-쇄국과 개항
17~18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변화 | 19세기 전반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와해와 조선 | 19세기 후반 조선의 문호개방 과정

 

 

권2

성리학적 인간의 형성-조선 사람들, 성리학의 시대를 살다
성리학적 인간, 박성의 출생 | 성리학과 성리학적 인간 | 성리학을 위한 텍스트 | 성리학적인 삶

학문적 네트워크의 형성-학파와 학문교류
학파의 형성 | 학문 교류의 방식과 내용 | 학문적 네트워크의 구조

재지사족, 향촌의 지배자가 되다-사족의 향촌 지배, 그 성립과 변화
재지사족과 향촌 지배 | 16~17세기 향촌 지배의 확립과 구조 | 16~17세기 향촌 지배의 내용과 성격 |18~19세기 향촌 지배의 변화와 ‘새로운 세력’의 등장

가족에서 문중으로-집안의 내력과 형성 이야기
장가가는 남자, 무남독녀가 이어간 제사 | 장자와 동성동족이 최고 | 분화, 분열되는 친족조직 | 조선 후기의 문중화 경향: 동족마을과 문중서원

농사짓는 작인, 수취하는 지주-양반들의 농업경영
노비를 부려 농사짓던 시절 | 모내기의 보급과 밭농사의 집약화와 다각화 | 지대를 더 수취하려고 애쓰는 양반 | 양반들의 땅에 의지하던 사람들

조선의 일상-의식주를 통해 본 조선의 생활 문화
신분과 질서를 입다 | 조선 사람들의 밥과 끼니 | 초가삼간에도 예를 담다

약과 의사가 넘치는 서울, 먹을 것도 부족한 시골 18세기 후반-조선의 의료 풍경
서울의 의료 풍경과 유만주의 일기 | 김약행의 시골 생활

일탈과 저항-체제를 벗어나려는 자, 체제에 저항하는 자
마을을 떠나는 자들 | 모이면 도적, 흩어지면 농민 | 현실에 저항하는 자들 | 새로운 세상을 향해 저항하는 자들